프로젝트 개요

GateKeyPer의 기획 흐름을 소개합니다.

1. 개발 배경

군 부대 내에서 다양한 잠금장치를 사용함에 따라 아래의 다양한 문제가 다수 발생하고 있습니다.

문제가 되는 군대 내 열쇠함의 모습 (예시)
  • 비효율적 : 모양/색/표기별로 구분 짓고 있으나, 필요한 키를 찾을 때 오래 걸리며 분실이 발생함

  • 보안문제 : 수기로 대장을 작성하여 기록을 관리하나, 정보위조 가능성이 있으며 신용도가 낮음

  • 책임문제 : 키의 대여를 통해 여는 경우, 문제 발생 시 책임소재로 인해 문제를 은폐함

  • 유지보수 : 키 분실/파손시 대체키를 찾거나 새로 설치하는 등의 키와 자물쇠 관리가 어려움

  • 정보문제 : 수기 대장을 통해 조사 시, 수많은 키 정보를 한눈에 보기 어려워 활용성 낮음

2. 아이디어 제안

상단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, 종래 물리적 키의 한계점을 개선하고 보안은 더욱 강화시킬 수 있는 “게이트키퍼” 솔루션을 개발하게 되었습니다. 시스템 구성을 위해 잠금키와 자물쇠가 각각 1개 이상 필요하며, 관리를 위한 웹페이지가 연동됩니다.

  • 동일한 키임에도 사용자가 누군지 알 수 있어, 여러 키를 동시다발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

  • 기존 보안성을 유지하며 신용도를 높히기 위해 자동으로 로그가 저장되어야 할 것

  • 원하는 정보(로그 데이터)를 한번에 찾을 수 있으며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일 것

3. 개발 방법론

개발 가용시간이 적고 다양한 분야가 투입되는 IoT 분야 해커톤의 특성상, 시연 가능 수준을 단계별로 수립하는 '애자일-MVP방법론'을 적용하여 개발하였습니다.

  • MVP 1단계 (21. 09. 17) : 가상환경에서 서비스 구동 구현(펌웨어 일부)

  • MVP 2단계 (21. 10. 04) : 오프라인에서 서비스 구동 구현(하드웨어 일체)

  • MVP 3단계 (21. 10. 16) : 하드웨어 최적화, 웹 시스템 구현(현 단계)

  • MVP 4단계 ( ~ 이후 ) : 미구현 부분들 계획 수립

4. 개발 결과물

  • 하드웨어 : IoT 잠금키 / IoT 자물쇠 (펌웨어 탑재상태)

  • 소프트웨어 : 관리를 위한 웹 페이지

  • 서비스 소개 페이지 : Landing page (Link)

  • 소개 영상 : Youtube (Link)

  • 개발 문서 : notion (Link) / github (Link) / gitbook (This)

5. 소요 리소스

리소스 항목
세부 내역

개발 시간

- 개발 기간 50일, 업무 효율 30% (주간 평균 약 28시간 x 6주)

- 휴가 4일 공동작업 (4일 50시간)

개발 인원

- 기획 / 하드웨어 구축 / 펌웨어 개발 1인 (상병 오복성)

- 기획 / 웹 개발 / 통신 구축 1인 (일병 남창현)

개발 비용

- 시제품 제작비용 약 80만원 소요 (3D프린팅/부품구매)

- 잠금키 2개, 자물쇠 3개 제작

6. 기대효과

[ 사회적 기대효과 ]

  • 물리적 효율성 개선 : 잠금장치별로 여러 개의 키를 소지할 필요 없이, 하나의 키로도 여러 자물쇠의 잠금 해제 가능

  • 시스템적 관리의 개선 : 키와 자물쇠가 계속 늘어나도 솔루션을 통해 수많은 키, 자물쇠 정보를 한눈에 검열 가능

  • 보안성/책임소재 강화 : 이용자/사용키 등의 정보가 키와 자물에 남으므로, 보안 및 책임소재의 용이한 확인 가능

  • 보안의 정도에 따른 잠금의 차등화 : 대기/분실 등으로 인한 시간 낭비 최소화. 여러 키 운영을 통한 높은 효율

[ 경제적 기대효과 ]

  • 현재 육군 2군단 직할 대대에 소속 중인 팀원의 부대 내만 하더라도 80 여개의 자물쇠가 사용되고 있음. 이를 통해 추정한 바, 전 육군을 합하면 2만여 개에 달하는 자물쇠 사용이 예상, 앞서 언급한 기대효과의 파급력이 빠르게 확산될 수 있음.

  • 본 아이템은 비단 군 시설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산업상의 이용에도 활용될 수 있음. 종래 스마트 도어락 시장과 경쟁의 여지가 있으나, 효율성이 높고 보다 높은 보안을 요하는 틈새시장이 분명할 것으로 기대되며 시장 확장의 가능성이 높음. (발전소/연구소 등)

Next. 개발 과정

다음 챕터에서는, 앞서 보았던 개요와 컨셉을 어떤 일정과 목표를 가지고 어떻게 개발을 하였는지 소개합니다.

  • 개발에 사용한 개발 툴

  • MVP 단계별 목표와 현재 달성 결과

  • 개발에 소요된 항목별 시간

Last updated

Was this helpful?